본문 바로가기
상장폐지와 재상장의 모든 것/상장폐지분석

셀루메드 상장폐지 리스크 진단 | 자본잠식률 50%↑·3년 연속 적자 (2025 최신)

by 굿백 2025. 10. 16.
반응형

 

셀루메드 자본잠식률 50% 상장폐지 리스크 썸네일

📑 목차
1. 셀루메드 주요 재무위험 요약
2. 연도별 타임라인 분석
3. 자본잠식률 개선 시나리오 (3단계)
4. 관리종목 지정 및 상장폐지 심사 리스크
5. 결론 및 투자유의 안내
6. FAQ

📉 1. 셀루메드 주요 재무위험 요약

셀루메드(049180)는 최근 3사업연도 중 2사업연도에서 법인세비용차감전 계속사업손실이 발생했으며, 2024년 기준 자본잠식률이 50%를 초과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38조 제1항 제4호 및 제6호에 해당하며, 관리종목 지정 및 상장폐지 실질심사 가능성을 동시에 내포합니다.

구분 내용 관련 규정 리스크 수준
법인세비용차감전 계속사업손실 최근 3사업연도 중 2사업연도 이상 발생 제38조 제1항 제4호 ⚠️ 관리종목 가능성
자본잠식률 50% 초과 2024년 잠정치 약 56% 제38조 제1항 제6호 🚨 상장폐지 실질심사 가능

📊 2. 셀루메드 재무위험 타임라인

연도 주요 이슈 재무현황 요약 리스크
2022 영업적자 지속, 계속손실 발생 자본총계 198억, 자본잠식률 32% ⚠️ 1차 경고
2023 2년 연속 적자, 흑자전환 실패 자본총계 102억, 자본잠식률 47% ⚠️ 관리종목 직전 단계
2024 3년 연속 적자 지속, 자본잠식률 50% 초과 자본총계 45억, 자본잠식률 56%(추정) 🚨 상장폐지 심사 가능성

🔁 3. 자본잠식률 개선 시나리오 (3단계)

시나리오 내용 단기효과 중장기 리스크
① 유상증자 신규 투자유치·자본확충 유동성 확보 지분희석 우려
② 감자 결손금 보전 통한 자본잠식률 개선 재무구조 개선 주가하락 가능
③ M&A 사업재편·매각 추진 기업가치 재평가 가능 실행 불확실

⚠️ 4. 관리종목 지정 및 상장폐지 심사 리스크

  • 📅 예상 시점: 2025년 4~5월 (사업보고서 제출 후)
  • 🏦 필요 조치: 자본확충·매출성장 동반 개선
  • 📉 미이행 시: 거래정지 또는 상장폐지 심사 가능

💬 5. 결론 및 투자유의 안내

셀루메드는 최근 3년 연속 적자와 자본잠식률 50% 초과로 인해 관리종목 지정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유상증자·감자·M&A 등 구조조정 계획이 단기간 내 실행되지 않을 경우, 상장폐지 실질심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투자 시에는 반드시 사업보고서 감사의견자본금 변동 공시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6.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셀루메드는 왜 관리종목 지정 가능성이 있나요?

A. 최근 3사업연도 중 2사업연도 이상 계속손실이 발생했고, 자본잠식률이 50%를 초과했기 때문입니다.

Q2. 상장폐지 심사는 언제 진행되나요?

A. 보통 사업보고서 제출 직후(3~4월)에 심사 여부가 결정됩니다.

Q3. 개선을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요?

A. 유상증자, 감자, M&A 등을 통해 재무구조를 개선해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