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장폐지 리서치랩 (거래정지·재상장 분석)/주린이 교실 (기초 투자 가이드)

거래정지 이유와 거래재개 시나리오 3단계 (2025 최신 정리)

by 굿백 2025. 11. 17.
반응형
거래정지 이유와 거래재개 시나리오 3단계 (2025 최신 정리)
📑 본 콘텐츠는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및 전자공시(DART)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투자 판단의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거래정지 이유와 거래재개 시나리오 3단계 (2025 최신 정리)

실질심사·감사의견·자본잠식률로 보는 상장유지 조건과 거래재개까지 걸리는 시간표 공개

  • 거래정지 핵심 사유: 자본잠식, 감사의견 한정·부적정, 매출 50억 미만, 공시의무 위반 등
  • 실질심사 핵심 3요소: 사업 지속성·재무 안정성·지배구조
  • KRX 절차: 심사 개시 → 개선기간 → 최종 심의 → 거래재개 or 상폐
  • 평균 소요기간: 대부분 개선기간 1년 내외
  • 결론: 상장유지 조건은 명확하지만 충족 난이도는 종목별로 크게 다름

1️⃣ 거래정지의 대표적인 사유 (모든 기업 공통)

  • 자본잠식률 50% 이상 또는 완전자본잠식
  • 감사의견 한정·부적정·거절
  • 매출액 50억 미만
  • 공시의무 위반·불성실공시 지정
  • 횡령·배임·중대 경영 리스크
  • 기업의 지속가능성 의문 제기될 때

즉, 거래정지는 단순한 ‘주가 하락’ 때문이 아니라 기업 재무·공시 신뢰성·지속성 문제가 중대하게 발생했을 때 시행된다.

2️⃣ 거래정지 → 실질심사 → 거래재개까지의 시간표

  • 1단계: 거래정지 공시(즉시 혹은 다음 거래일 반영)
  • 2단계: KRX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판단 (10~15영업일)
  • 3단계: 개선기간 부여 (대부분 3~12개월)
  • 4단계: 개선기간 종료 직전 심의
  • 5단계: 상장유지 / 조건부 유지 / 정리매매
  • 6단계: 상장유지 결정 → 거래재개

3️⃣ 거래재개 시나리오 3단계

🟩 시나리오 1 — 상장유지 & 정상 거래재개

  • 감사의견 적정
  • 자본잠식률 정상화
  • 재무 안정·사업 지속성 확보
  • 부채·유동성 리스크 해소

→ 상장유지 조건을 충족하면 거래재개가 가능하다.

🟨 시나리오 2 — 조건부 상장유지

  • 일부 조건 충족, 일부 미달
  • 추가 보완 요구·관리종목 지정
  • 거래재개는 되지만 재심사 리스크 지속

🟥 시나리오 3 — 상장폐지 심사 & 정리매매

  • 감사의견 한정·부적정·거절
  • 지속적인 자본잠식 재발
  • 기업의 지속가능성 훼손

→ 정리매매는 보통 7~10일 진행되며 손실 위험이 매우 크다.

4️⃣ 투자자가 반드시 체크해야 할 5가지

  • 감사의견 (적정 여부)
  • 자본잠식률 & 재무 구조
  • 부채 만기·유동성
  • 사업의 지속성
  • KRX 개선계획 이행 평가

📌 함께 보면 좋은 상폐연구소 리포트

⚠️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 특정 종목의 매수·매도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상장폐지·정리매매 구간에서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