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장폐지와 재상장의 모든 것/도구,계산기

🇰🇷 국내 ETF vs 🌏 해외 ETF, 어떤 게 유리할까? (세금·복리 비교 가이드)

by 굿백 2025. 10. 3.
반응형

🇰🇷 국내 ETF vs 🌏 해외 ETF, 어떤 게 유리할까? (세금·복리 비교 가이드)

국내 ETF와 해외 ETF 투자 시 세금 차이와 복리 효과는 얼마나 다를까요? 15.4% 원천징수 vs 해외 과세 구조를 비교 분석했습니다.


📑 목차

  1. ETF 투자, 국내 vs 해외 차이
  2. 세금 구조 비교 (국내 15.4% vs 해외 0%·22%)
  3. 복리 효과 계산기 시뮬레이션
  4. 실제 투자자에게 어떤 선택이 유리할까?
  5. 마무리 및 투자 유의사항

1. ETF 투자, 국내 vs 해외 차이

ETF(상장지수펀드)는 전 세계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금융상품 중 하나입니다. 국내 상장 ETF(코스피·코스닥 상장)와 해외 ETF(예: 미국 S&P500 ETF)는 모두 지수 추종 성격을 띠지만, 세금 구조와 배당 재투자 방식에서 큰 차이가 발생합니다.

2. 세금 구조 비교 (국내 15.4% vs 해외 0%·22%)

  • 국내 ETF: 분배금 지급 시 15.4% 원천징수, 양도차익은 국내 주식형 비과세
  • 해외 ETF: 배당소득 미국 원천징수세 15%, 국내 금융소득 종합과세(22~49.5%), 양도세 22%

👉 즉, 국내 ETF는 세율이 단순(15.4%)하고, 해외 ETF는 과세 구조가 복잡합니다. 특히 연간 해외 금융소득이 2,000만원을 초과하면 종합과세 구간에 들어가 세 부담이 커집니다.

3. 복리 효과 계산기 시뮬레이션

아래 계산기를 통해 국내 ETF(세율 15.4%)와 해외 ETF(세율 자유 입력: 0% 또는 22%)를 직접 비교할 수 있습니다.

 

💹 국내 ETF vs 해외 ETF 복리 비교 계산기

 

📊 예시 시뮬레이션

  • 원금: 1천만원
  • 연 수익률: 8%
  • 기간: 10년
  • 단위: 매월
구분 최종 금액 차이
국내 ETF (세율 15.4%) 약 1억 9,610만원 기준
해외 ETF (세율 0%) 약 2억 1,590만원 + 약 1,980만원
해외 ETF (세율 22%) 약 1억 7,700만원 - 약 1,910만원

4. 실제 투자자에게 어떤 선택이 유리할까?

- 안정적 세금 구조 원한다면 → 국내 ETF - 세금보다 장기 복리 효과 & 글로벌 분산 → 해외 ETF
👉 고소득자라면 국내 ETF 절세 전략, 금융소득이 적고 장기 투자자라면 해외 ETF도 유리합니다.

5. 마무리

ETF 투자에서 중요한 건 세후 수익입니다. 같은 8% 수익률이라도 세금 차이에 따라 10년 뒤 자산이 수천만 원 차이날 수 있죠. 투자자는 ① 세율 구조 ② 투자 기간 ③ 복리 효과를 꼭 고려해야 합니다.


👉 관련글: ETF 세금 완전정복
👉 더보기: 15.4% 원천징수 계산기

#ETF세금 #국내ETF #해외ETF #ETF투자 #ETF복리 #해외ETF세금 #ETF비교 #세전세후 #원천징수 #금융소득종합과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