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꿀팁/도구,계산기

💰 ETF 세금 계산기 2025 | 양도소득세·종합소득세 한눈에 확인

by 굿백 2025. 10. 2.
반응형

ETF 투자자는 반드시 세금 구조를 이해해야 합니다. 2025년 현재, ETF 세금은 크게 ① 원천징수(15.4%), ② 양도소득세(22%), ③ 금융소득종합과세(최대 49.5%)로 구분됩니다. 이 글에서는 ETF 세금 체계와 함께, 직접 활용할 수 있는 ETF 세금 계산기까지 제공하니 끝까지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목차

  1. ETF 세금의 기본 구조
  2. 국내 주식형 ETF
  3. 국내 상장 해외/채권 ETF
  4. 해외 직접 투자 ETF
  5. 금융소득종합과세란?
  6. ETF 절세 포인트
  7. ETF 세금 계산기
  8. 마무리

1. ETF 세금의 기본 구조

ETF 수익은 매매차익분배금(배당)으로 구분됩니다. 국내 상장 ETF와 해외 직접 투자 ETF는 세금 체계가 완전히 다릅니다.

2. 국내 주식형 ETF

  • 매매차익: 비과세 (증권거래세만 발생)
  • 분배금: 배당소득세 15.4% 원천징수
  • 종합소득세: 해당 없음

👉 국내 주식형 ETF는 세금 부담이 가장 낮습니다. 추가로 ETF 분배금 세금 2025 최신 가이드를 참고하세요.

3. 국내 상장 해외/채권 ETF

  • 매매차익: 배당소득으로 간주 → 15.4% 원천징수
  • 분배금: 동일하게 15.4% 원천징수
  • 금융소득종합과세: 연간 금융소득 2,000만 원 초과 시 신고 대상

👉 관련 심사 이슈는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사례 모음 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해외 직접 투자 ETF (미국 등)

  • 매매차익: 양도소득세 22% (250만 원 기본공제 후)
  • 분배금: 미국 15% 원천징수 + 한국 15.4% 과세 (이중과세 조정 가능)

👉 해외 투자 관심이 있다면 금양 상장폐지 리스크 분석처럼 리스크 관리 사례도 참고해보세요.

5. 금융소득종합과세란?

배당소득으로 분류되는 ETF 수익은 다른 금융소득(이자, 배당 등)과 합산합니다.

  • 연간 금융소득 합계 ≤ 2,000만 원 → 원천징수 15.4%로 종료
  • 연간 금융소득 합계 > 2,000만 원 → 종합소득세 신고 의무

예시: 은행 이자 1,500만 원 + ETF 수익 1,000만 원 = 2,500만 원 →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6. ETF 절세 포인트

  1. 국내 주식형 ETF 비중 확대 → 세금 부담 최소화
  2. 해외 ETF 투자 시 기본공제 활용 (250만 원까지 비과세)
  3. 금융소득 2천만 원 초과 여부 점검
  4. 배당소득 분산 투자 전략 고려

7. ETF 세금 계산기

아래 계산기를 이용하면 총 수익, 세금, 세후 실수령액을 즉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ETF 세금 계산기

매매차익과 분배금을 따로 입력해 세후 실수령액과 수익률을 확인하세요. (모바일 최적화)


 

📊 세금 vs 실수령액 비중

📊 매매차익/분배금 상세 비교

8. 마무리

ETF 투자는 단순히 “얼마 벌었다”가 아니라 세후에 얼마 남았는가가 핵심입니다. 양도소득세, 종합소득세, 원천징수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고 투자 전략을 세우면 세금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참고할만한 글:


 

반응형

댓글